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공부

아파트 청약 가점제, 계산 방법만 알아도 당첨 확률이 달라집니다

by illilllilllli 2025. 9. 17.
반응형

 

아파트 청약, 왜 가점제가 중요할까?

아파트 분양 시장에서 청약은 내 집 마련의 첫 단계로 꼽힙니다. 하지만 경쟁률이 수십 대 일을 넘어가는 상황에서 단순히 신청만 한다고 당첨될 확률은 높지 않습니다. 국토교통부 자료(2024)에 따르면, 서울 주요 아파트 평균 청약 경쟁률은 39:1이었으며, 인기 단지는 100:1을 넘기도 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가점제는 사실상 당첨을 좌우하는 핵심 제도입니다. 오늘은 아파트 청약 가점제가 어떻게 계산되는지, 점수를 높이는 방법은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아파트 청약 가점제란?

가점제는 무주택 실수요자에게 유리하도록 설계된 제도입니다. 일정 조건(무주택 기간, 부양가족 수, 청약통장 가입 기간 등)을 점수로 환산해 높은 점수를 받은 사람에게 당첨 기회를 우선 부여합니다. 청약 당첨자 선정 방식은 가점제와 추첨제가 병행되는데, 수도권 인기 지역은 가점제 비율이 높아 사실상 점수가 당락을 결정합니다.

가점제 총 배점 구조

가점제는 총 84점 만점으로 구성됩니다.

  • 무주택 기간: 최대 32점
  • 부양가족 수: 최대 35점
  • 청약통장 가입 기간: 최대 17점

즉, 세 항목을 합산해 점수가 높을수록 당첨 확률이 올라갑니다.

① 무주택 기간 점수 (최대 32점)

무주택 기간은 만 30세부터 계산하며, 결혼한 경우 혼인신고일 기준으로 시작합니다.

  • 1년 이상: 2점
  • 매년 2점씩 증가
  • 최대 15년 이상: 32점

예: 10년간 무주택이라면 20점(= 2점 + 9년×2점) TIP: 부모님 집에 같이 살아도 본인 명의 주택이 없으면 무주택으로 인정됩니다.

② 부양가족 수 점수 (최대 35점)

부양가족은 세대원 중 본인과 배우자를 제외한 가족을 의미합니다. (자녀, 부모, 배우자의 직계존속 포함)

  • 1명: 5점
  • 2명: 10점
  • 3명: 15점
  • 4명: 20점
  • 5명: 25점
  • 6명: 30점
  • 7명 이상: 35점

사례: 자녀 2명과 부모님을 부양한다면 3명으로 15점을 받습니다.

③ 청약통장 가입 기간 점수 (최대 17점)

청약통장은 가입 기간이 길수록 점수가 올라갑니다.

  • 1년 이상: 1점
  • 매 1년에 1점씩 증가
  • 최대 15년 이상: 17점

TIP: 납입 금액이 크다고 점수가 오르는 것이 아니라 ‘가입 기간’이 기준입니다.

가점제 계산 예시

예시: 40세 무주택 직장인 A씨 - 무주택 기간: 10년 → 20점 - 부양가족: 배우자+자녀 2명 → 15점 - 청약통장 가입 기간: 12년 → 13점 총점: 48점 이 점수로는 수도권 인기 지역 당첨이 어렵지만, 지방 대도시에서는 충분히 기회가 있습니다.

 

 

가점제 당첨 커트라인

실제 당첨 커트라인은 단지별로 다릅니다. 국토교통부 청약홈 공개자료(2024)에 따르면,

  • 서울 강남 주요 단지: 60점 이상
  • 수도권 신도시: 50점 전후
  • 지방 광역시: 40점대도 당첨 사례

즉, 본인의 점수를 먼저 계산해보고, 지원할 단지를 전략적으로 선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가점 올리는 방법

  • 무주택 유지: 주택 구입 전 청약 당첨 기회를 먼저 고려
  • 부양가족 확대: 부모님을 세대원으로 합가하면 점수 상승 가능
  • 청약통장 장기 유지: 중도 해지 절대 금지

사례: 실제로 부모님을 세대원으로 합쳐 부양가족 점수를 높인 뒤, 54점으로 서울 외곽 단지 청약에 성공한 사례가 있습니다.

사용자 경험담: 가점제 체감

경험 A: “50점 초반이었는데 서울에서는 번번이 떨어졌습니다. 결국 지방 광역시 신축 아파트에 청약해 당첨되었어요. 내 점수를 정확히 아는 게 중요합니다.” 경험 B: “청약통장을 대학 때부터 유지했는데, 그 덕분에 15년 이상 점수를 받아 당첨 확률이 높아졌습니다.” 경험 C: “부모님과 세대를 합쳐 가점을 올린 뒤 당첨에 성공했습니다. 전략적인 세대 구성도 중요한 방법이더군요.”

공신력 있는 기관 권장사항

국토교통부는 청약 가점제를 확인할 때 반드시 청약홈(www.applyhome.co.kr)에서 제공하는 청약 가점 계산기를 활용하라고 권장합니다. 또한 무주택 여부, 세대원 구성, 통장 가입 기간 등을 꼼꼼히 확인하지 않으면 당첨 취소 위험이 있다고 강조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청약통장 납입액이 많으면 점수가 올라가나요?

아닙니다. 점수는 가입 기간만 반영됩니다.

Q2. 부모님을 세대원으로 합가하면 무조건 가점이 오르나요?

네, 직계존속은 부양가족으로 인정됩니다. 단, 동일 주민등록등본에 있어야 합니다.

Q3. 무주택 기간 산정은 어떻게 하나요?

만 30세 이후 또는 혼인신고일 이후부터 계산합니다.

핵심 정리

아파트 청약 가점제는 총 84점 만점이며, - 무주택 기간(최대 32점) - 부양가족 수(최대 35점) - 청약통장 가입 기간(최대 17점) 세 가지 항목으로 구성됩니다. 본인의 점수를 미리 계산하고, 당첨 커트라인을 고려해 전략적으로 단지를 선택해야 합니다. 공신력 있는 자료와 실제 경험담에서도 확인되듯이, 점수 계산만 제대로 해도 당첨 확률이 달라집니다. 내 집 마련의 기회를 놓치지 않으려면 오늘 바로 본인의 청약 가점을 확인해 보시길 권장드립니다.

 

 

반응형

댓글